본문 바로가기

 

     

서울대학교 뇌과학 협동과정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Neuroscience

두뇌 및 신경계를 탐구하는 서울대학교 뇌과학협동과정

P
Scroll   Scroll
 

교수진

이용석 Ph.D.

교수
|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yongseok7@snu.ac.kr

전화번호 : (82)2-740-8225 (Office)
(82)2-740-8236~7 (Lab(연구관))
(82)2-3668-7634 (Lab(의과학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관 730호

Lab Website 링크 바로가기
연구분야

Cellular and Molecular Neuroscience

소속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의과대학 의과학과
자연과학대학 뇌과학협동과정

  • Research Overview

    신경생리학 연구실은 정상 뇌기능과 뇌질환의 메커니즘을 분자, 세포, 시냅스, 시스템 수준에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학습과 기억, 사회적 행동이 주요 연구 주제이며, 이 기능들이 손상된 신경발달장애를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1. 신경발달장애에 동반되는 학습과 기억 손상 메커니즘 규명
    우리 연구실은 RAS 신호전달경로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돌연변이가 신경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포 타입에 특이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밝혀왔습니다 (Nature Neuroscience 2014; Science Signaling 2019 등). 이를 위해 생쥐의 해마(hippocampus)에 집중하여 single cell RNA-seq, electrophysiology, behavioral analysis 를 통합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NF1, Noonan syndrome, CFC syndrome과 같이 RAS 경로와 관련된 신경발달장애 모델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2. 사회행동에 관여하는 네트워크 규명
    우리 연구실은 사회행동 중에서도 사회적 기억에 관여하는 뇌 영역 간 네트워크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Cell Reports 2021 등). 이를 위해 생쥐의 전두엽(PFC)을 중심으로 optogenetics와 in vivo calcium imaging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자유롭게 움직이는 생쥐에서 초소형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뇌세포 활성을 측정, 분석하고, autism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성 장애 생쥐 모델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3. 전체 뇌 수준의 기억 네트워크 규명
    우리 연구실은 기억이 특정한 하나의 뇌 영역이 아닌 소뇌까지 포함하는 전체 뇌 영역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고 저장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Front Cell Neurosci 2022 등). In vivo fiber photometry, viral tracing, optogenetics, spatial genomic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기억 네트워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연구성과

    2022

    Hwang KD, Kim SJ, Lee YS. Cerebellar Circuits for Classical Fear Conditioning. Front Cell Neurosci. 2022; 16:836948.

    2022

    Park G, Jeon SJ, Ko IO, Park JH, Lee KC, Kim MS, Shin CY, Kim H, Lee YS. Decreased in vivo glutamate/GABA ratio correlates with the social behavior deficit in a mouse model of autism spectrum disorder. Mol Brain. 2022;15(1):19.

    2021

    Kim YG, Bak MS, Kim A, Kim Y, Chae YC, Kim YL, Chun YS, An JY, Seo SB, Kim SJ, Lee YS. Kdm3b haploinsufficiency impairs the consolidation of cerebellum-dependent motor memory in mice. Mol Brain. 2021 Jul 3;14(1):106.

    2021

    Park G, Ryu C, Kim S, Jeong SJ, Koo JW, Lee YS*, Kim SJ*. Social isolation impairs the prefrontal-nucleus accumbens circuit subserving social recognition in mice. Cell Rep. 2021 May 11;35(6):109104. [*Corresponding authors]

    2020

    Ryu HH, Kang M, Hwang KD, Jang HB, Kim SJ, Lee YS. Neuron type-specific expression of a mutant KRAS impairs hippocampal-dependent learning and memory. Sci Rep. 2020 Oct 20;10(1):17730.

    2020

    Lee YS, Yu NK, Chun J, Yang JE, Lim CS, Kim H, Park G, Lee JA, Lee K, Kaang BK, Lee JH. Identification of a novel Shank2 transcriptional variant in Shank2 knockout mouse model of autism spectrum disorder. Mol Brain. 2020 Apr 6;13(1):54.

    2020

    Kim JH, Kim A, Yun Y, Park S, Lee JH, Lee YS*, Lee MJ*. Reduced chronic restraint stress in mice overexpressing hyperactive proteasomes in the forebrain. Mol Brain. 2020 Jan 13;13(1):4. [*Corresponding authors]

    2019

    Kang MK, Lee YS. The impact of RASopathy-associated mutations on CNS development in mice and humans. Mol Brain. 2019 Nov 21;12(1):96

    2019

    Kim MJ, Lee RU, Oh J, Choi JE, Kim H, Lee K, Hwang SK, Lee JH, Lee JA, Kaang BK, Lim CS, Lee YS. Spatial Learning and Motor Deficits in Vacuolar Protein Sorting-associated Protein 13b (Vps13b) Mutant Mouse. Exp Neurobiol. 2019 Aug 31;28(4):485-494.

    2019

    Ryu HH, Kang M, Park J, Park SH, Lee YS. Enriched expression of NF1 in inhibitory neurons in both mouse and human brain. Mol Brain. 2019 Jun 24;12(1):60.

    2019

    Ryu HH, Kim T, Kim JW., Kang M, Park P., Kim YG, Kim H., Ha J., Choi JE, Lee J, Lim CS, Kim CH, Kim SJ, Silva AJ, Kaang BK, Lee YS. Excitatory neuron–specific SHP2-ERK signaling network regulates synaptic plasticity and memory. Sci. Signal. 2019, Vol. 12, Issue 571, eaau5755. (Cover)


서울대학교 뇌과학협동과정
  •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뇌과학 협동과정 25동 414호
  • TEL. 02-880-4358
  • FAX. 02-888-9623
  • 개인정보처리방침
  • Copyright 2021 All Rights Reserved by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Neuro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