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대학교 뇌과학 협동과정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Neuroscience

두뇌 및 신경계를 탐구하는 서울대학교 뇌과학협동과정

P
Scroll   Scroll
 

교수진

장성호 Ph.D.

교수
|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sunghoe@snu.ac.kr

전화번호 : (82)2-740-8918 (Office)
(82)2-3668-7659 (Lab)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관 309호

Lab Website 링크 바로가기
연구분야

Cellular and Molecular Neuroscience

소속

의과대학 의과학과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자연과학대학 뇌과학협동과정

  • Research Overview

    신경기능 및 바이오 이미징 실험실은 시냅스 전뉴런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분비 기전, 시냅스 후뉴런에서의 신경세포 구조변화 기전, 뇌조직 투명화 및 항체염색 기술개발,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에서 보고되는 시냅스 관련 유전자의 신경신호전달 기능 규명 등과 같은 연구를 초고해상도 이미징, 라이브 세포 이미징, 생화학 실험 기법, 전기생리학 실험 기법, 분자세포생물학 실험기법, 생물 물리학 실험 기법 등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Presynaptic neuron의 신경기능 조절 기전 규명
    연구실에서는 synaptic vesicle의 분비모드 및 순환기전, 시냅스 소포 분비 위치 점유 및 정리 기전, 신경전달물질충전 기전, 시냅스 소포 재충전 기전 등등 시냅스 전뉴런에서 일어나는 신경기능 조절기전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폐성 발달장애와 같은 신경발달장애 관련 단백질의 발현저하 및 돌연변이가 시냅스 전뉴런에서 신경전달물질 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결국 신경신호전달을 어떻게 저해시키는지 그 기전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2. Postsynaptic neuron의 신경기능 조절 기전 규명
    연구실에서는 특히 고해상도 라이브세포 이미징을 통해 흥분성 신경세포의 대표적인 시냅스 후뉴런 구조인 dendritic spine의 미세구조형성 및 변화기전이 실제 신경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다양한 신경발달질병과 관련된 단백질이 어떻게 dendritic spine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

    3. 신경퇴행성질환 발병인자 및 관련 단백질의 신경기능 조절 기전 규명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인자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와 타우 단백질, 그리고 파킨슨병의 발병인자로 알려진 알파시누클레인, Parkin 및 LRRK2 등 많은 관련 단백질들은 실제로 신경세포에도 상당히 발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발병인지가 신경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서 신경퇴행성질환의 분자적 발병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4. 뇌조직 투명화 및 면역염색법 기술 개발 연구
    두꺼운 생물조직을 이용하여 고해상도로 깊은 곳까지 이미징을 하기 위해서는 빛의 회절 한계를 극복 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물조직 자체를 투명화하거나 형광염색 기법 기술을 크게 향상시켜 이미징을 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최대한의 이미징 효율을 낼 수 있는 뇌조직 투명화 및 면역염색 기법을 개발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 연구성과

    2022

    Kim K, Na M, Oh, K, Cho E, Han SS and Chang S. Optimized single-step optical clearing solution for 3D volume imaging of biological structures. Commun Biol.

    2022

    Na M, Kim K, Oh K, Choi HJ, Ha C and Chang S. Sodium Cholate-Based Active Delipidation for Rapid and Efficient Clearing and Immunostaining of Deep Biological Samples. Small Methods.

    2021

    Lee S-E, Cho E, Jeong S, Song Y, Kang S and Chang S. SGIP1α, but Not SGIP1, is an Ortholog of FCHo Proteins and Functions as an Endocytic Regulator. Front. Cell Dev. Biol.

    2021

    Kim B, Na M, Park S, Kim K, Park JH, Chung E, Chang S, Kim KH. Open-top axially swept light-sheet microscopy. Biomed. Opt. Express, 2021, Mar 25;12(4):2328-2338

    2021

    Lee U, Ryu SH, Chang S. SCAMP5 mediates activity-dependent enhancement of NHE6 recruitment to synaptic vesicles during synaptic plasticity. Mol. Brain. 2021, 2021 Mar 4;14(1):47

    2021

    Lee U, Choi C, Ryu SH, Park D, Lee SE, Kim K, Kim Y, Chang S. SCAMP5 plays a critical role in axonal trafficking and synaptic localization of NHE6 to adjust quantal size at glutamatergic synapses. Proc. Natl. Acad. Sci. USA, 2021, 2021 Jan 12; 118 (2) :e2011371118

    2021

    Park D, Wu Y, Lee SE, Kim G, Jeong S, Milovanovic D, De Camilli P, Chang S. Cooperative function of Synaptophysin and Synapsin in the generation of synaptic vesicle-like clusters in non-neuronal cells. Nat Comm, 2021, Jan 11;12(1):263

    2021

    Kim G, Lee SE, Jeong S, Lee J, Park D, Chang S. Multivalent electrostatic pi-cation interaction between synaptophysin and synapsin is responsible for the coacervation. Mol. Brain, 2021, In press

    2020

    Park, JG, Na M, Kim MG, Park SH, Lee HJ, Kim DK, Kwak C, Kim YS, Chang S, Moon KC, Lee DS, Han SS. 2020Immune cell composition in normal human kidneys, Sci. Rep. 2020, 10:15678

    2020

    Kim Y, Lee U, Choi C, Chang S. Release mode dynamically regulates the RRP refilling mechanism at individual hippocampal synapses. J. Neurosci. 2020;40:8426-8437

    2020

    Lim S, Park H, Lee SE, Chang S, Sim B, Ye JC. CycleGAN With a Blur Kernel for Deconvolution Microscopy: Optimal Transport Geometry, IEEE Trans. Comp. Imag, 2020, 6:1127-1138

    2020

    Na M, Kim K, Lim HR, Ha CM, Chang S. Rapid immunostaining method for three-dimensional volume imaging of biological tissues by magnetic force-induced focusing of the electric field. Brain Struct. Funct. 2020;0:doi: 10.1007/s00429-020-02160-0

    2018

    Lee SE, Kim JA, Chang S. nArgBP2-SAPAP-SHANK, the core-postsynaptic triad associated with psychiatric disorders. Exp. Mol. Med. 2018 Apr 9;50(4):2.

    2018

    Park D, Lee U, Cho E, Zhao H, Kim JA, Lee BJ, Ho WK, Cho KW, Chang S. Impairment of release site clearance by the autism candidate gene SCAMP5 insufficiency causes short-term depression. Cell Rep. 2018 Mar 20;22(12):3339-3350.


서울대학교 뇌과학협동과정
  •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뇌과학 협동과정 25동 414호
  • TEL. 02-880-4358
  • FAX. 02-888-9623
  • 개인정보처리방침
  • Copyright 2021 All Rights Reserved by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Neuro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